[신유철 기자수첩]박상도 회장, 노인 교통안전 대책 촉구…“보행 속도 고려한 시설 필요”

대전 교통사고 사망 43% 증가…노인회 ‘맞춤형 안전대책’ 주목
“노인 교통사고 줄이자” 대전노인회, 야간 안전장구·교통섬 설치 제안
대전시 ‘사망사고 제로’ 선포…노인회 “야광 장비·보호구역 확대 시급”

“거동이 느리고 체력이 약한 노인들의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교통망 개선을 위한 별도의 대책과 야광 반짝이로 안전장치가 부착된 의류와 신발이 필요하다. 그리고 대전 지역 노인들이 제시한 우수한 사례가 전국으로 확대돼야 한다.”

 

박상도 대한노인회 대전시 연합회장은 최근 대전시에서 개최한 ‘교통 사망사고 제로 대전선포식’에 참석, 노인들의 교통안전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박 연합회장의 이 같은 주장은 지난 2020년 무렵, 대전시가 분석한 자료에 근거하고 있다. 이 자료에 따르면 당시 교통사고 사망자 중 65세 이상 노인층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사고 유형별로는 교차로 내 야간 교통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61.4%로 아주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통사고 추세는 지금도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당시 대전시는 자구책에 골몰한 나머지 야간대 사고를 줄이기 위해 교차로 조명탑과 횡단 보도 집중조명 등 조도 개선 사업과 교통신호기 변화를 통한 교통안전시설 설치 사업에 주력해 왔다.

 

그러나 사고 건수는 꾸준히 늘어났고, 효과적인 개선책을 찾기는 쉽지 않았다. 마침 이러한 시점에 박상도 대전노인회 연합회장의 노인교통사고를 줄이는 데 구체적인 의견이 제시돼 큰 반향을 불러오고 있다.

 

대전시는 지난 17일 시청 대강당에서 ‘교통 사망사고 제로 대전선포식’을 열고 교통사고로부터 안전한 도시 구현을 위한 실천 의지를 밝혔다. 행사에는 이장우 대전시장, 박상도 대한노인회 대전연합회장, 교통 관련 기관·단체, 시민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대전시는 조사 결과 올해 대전의 교통사고 사망자는 10월까지 53명으로 전년 대비 43% 증가했다. 시는 안전불감증과 부족한 교통 안전의식이 원인이라고 진단했고, 시민 인식 개선과 안전 문화 확산을 위해 선포식과 특강 자리를 마련했다.

 

행사는 교통발전 유공자 표창을 시작으로 교통 사망사고 제로 선포 퍼포먼스, 어린이보호구역 환경개선 업무협약 체결, 한문철 변호사 특강 순으로 진행됐다.

 

이날 어린이보호구역 환경개선을 위한 업무협약에는 대전시, 대전시교육청, 대전경찰청, 한국앤컴퍼니, 한국생활안전연합이 참여했다.

 

협약에 따라 한국앤컴퍼니는 서울사회복지공동모금회 지정기탁금을 통해 1억 원을 지원하고, 한국생활안전연합은 옐로카펫 설치를 담당해 시에 이관하기로 했다. 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 효과와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안전 문화 확산을 기대하고 있다.

 

교통사고 분석 전문가로 알려진 한문철 변호사는 특강을 통해 실제 사고 사례를 바탕으로 양보·배려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시민들로 부터 공감을 얻었다. 이와 함께 더불어 DB손해보험과 함께 1억 원 상당의 안전 물품 1,500벌을 노인단체 등에 기부하며 안전 문화 확산에 동참했다.

 

이참에 박상도 회장도 한목소리를 냈다. 박 회장의 주장은 일반 젊은 층이나 중, 장, 년 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력이 약한 노인층들은 보행속도가 느리다 보니 30m 거리의 신호등을 제시간에 건널 수 없어 도로 중간에 ‘교통섬’ 등 별도의 안전시설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회장은 이어 교통사고에 취약한 밤 시간대를 위해서는 운전자들이 눈에 잘 띄는 야광 물질이 들어있는 복장과 장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야간 조끼, 신발, 야간지팡이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리고 대전시 노인들이 모범을 보인 후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계획도 설명했다.

 

대전시도 노인회 측의 여론에 따라 노인보호구역을 2025년까지 161곳으로 확대하고, 2026년 본예산에 고령 운전자 안전 운전 보조장치 지원 등 다양한 교통안전 신규 사업을 반영키로 했다.

 

박 회장은 이러한 자신의 구상을 경찰청과 시청에 건의 하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어 향후 대전 지역 및 전국 노인층의 교통 안전대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