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지금 다시 한번 기로에 서 있다. 100여 년 전 국권을 잃고 선열들이 피와 생명을 바쳐 지켜낸 나라가 이제는 다른 방식의 위기 앞에 놓여 있다. 독립운동의 현장은 이국땅이었지만, 오늘 대한민국의 위기는 바로 우리가 사는 이 땅에서 벌어지고 있다. 대한민국은 지난 100년 동안 경제·민주주의·복지·문화 등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지만, 그 근본 기반인 인구가 빠르게 붕괴되고 있다.
순국선열의 날은 단순히 과거의 희생을 기리는 날이 아니다. 선열이 나라를 지키기 위해 무엇을 선택했는지, 오늘 우리가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를 묻는 날이다. 선열들은 나라를 잃은 치욕 속에서도 조국을 되찾기 위해 모든 것을 바쳤다. 오늘 우리의 위기 또한 ‘국가의 지속’이라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같다. 총칼의 침략은 막아냈지만, 인구절벽의 붕괴는 내부에서 진행되고 있어 더 치명적이다.
현재 대한민국은 세계 유일의 0.7명대 출산율 국가이며, 인구학자들은 우리가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완전 소멸 가능성이 구체적으로 계산되는 국가’가 될 수 있다고 말한다. 한국의 합계출산율이 1.2명만 되어도 인구 안정이 가능하지만, 0.7명에서 1.0명으로 회복하는 데조차 20년 이상의 시간이 걸린다. 인구 구조가 한 번 붕괴되면 다시 회복하는 데 최소 70년이 걸린다고 한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그 임계점을 향해 빠르게 달려가고 있다.
정부는 매년 수십조 원의 저출산 예산을 투입해 왔지만, 실질적 성과는 거의 없다. 그 이유는 출산 장려의 문제를 ‘현금 지원’ 중심의 복지 문제로만 접근했기 때문이다. 출산은 개인의 의지가 아니라 사회적 신뢰, 가치관, 미래 전망, 일·가정 양립, 주거·교육·직장문화 등 복합적 환경 속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무엇보다 국가정체성과 공동체 가치가 무너진 사회에서는 출산율이 회복될 수 없다.
앞으로 5년이 대한민국 인구사에서 마지막 골든타임이다. 이 기간을 놓치면 인구 절벽은 되돌릴 수 없다. 이 5년 동안 국가가 얼마나 강력하게 방향을 전환하느냐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좌우한다. 순국선열의 날을 맞아 우리는 선열에게서 ‘국가를 지키는 최후의 결단’을 배워야 한다. 과거의 독립운동이 국권을 되찾는 일이었다면, 오늘의 출산·출생 장려운동은 미래를 되찾는 일이다.
순국선열의 희생은 과거에 머물러선 안 된다. 이제 대한민국은 다시 기로에 섰다. 나라를 되찾은 세대가 있다면, 나라를 이어갈 세대도 있어야 한다. 이 5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대한민국은 세계문명 중심국가로 재도약할 수도, 역사 속으로 사라질 수도 있다. 선택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순국선열의 날을 기념하면서, ‘한민족 홍익인간 오천나나 평화운동’의 출산·출생장려 구국운동 슬로건을 다시한번 기억해야 할 것이다.
“출산·출생장려는 제2의 구국운동이자 홍익인간의 밝은 미래입니다.
이는 꿈이 아닌 새로운 나라살리기의 시작입니다.
다산 코리아! 행복 코리아! 홍익 코리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