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경상남도는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을 위해 추진 중인 ‘일상돌봄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일상 회복에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함양군에 거주하는 10대 A양은 정신질환으로 장기입원 중인 아버지와 가출한 어머니 대신 두 동생을 돌보는 가족돌봄청년으로 학업과 집안일, 동생 돌봄까지 혼자 감당해 왔다.
경남도가 추진하는 일상돌봄 서비스를 통해 월 24시간의 가사서비스와 주 2회 식사지원으로 다시 즐거운 고등학교 생활을 할 수 있게 됐다. 특히, 해당 가정을 방문하는 요양보호사의 적극적인 정서적 지지는 아직 미성년자인 A양에게는 든든한 버팀목이 되고 있어, A양은 손편지로 감사의 인사를 전했다.
창녕군 40대 여성 장애인 B씨는 남편 사망과 자녀의 군 입대로 심한 우울증과 사회적 고립 위기에 놓였다.
일상돌봄서비스 대상으로 발굴되어 심리지원서비스를 받으면서 정서적 안정을 회복했고, 대인관계 개선과 긍정적인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다. 어머니를 걱정해 군 복무에 집중하기 어려웠던 아들은 “이제는 어머니가 잘 지내셔서 마음 놓고 군 생활을 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6월까지 일상돌봄 서비스 이용자는 1,354명으로 가사서비스, 재가돌봄, 식사지원 등 개인욕구에 맞는 맞춤형 통합돌봄 서비스를 이용했으며, 그중 식사지원은 가장 인기 있는 서비스로 전체 이용자의 53%인 712명이 이용했다.
일상돌봄 서비스는 가사지원, 재가돌봄 등을 포함한 ‘기본서비스’(24시간~72시간)와 식사지원, 병원동행, 심리지원 등의 ‘특화서비스’를 이용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맞춤형으로 지원받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서비스 신청은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로 하면 되고,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19~64세)과 가족돌봄청년(9~39세)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소득수준에 따라 본인부담금이 있다.
백종철 경남도 통합돌봄과장은 “가족을 책임지는 청년부터 돌봄이 필요한 청중장년까지 개인의 욕구에 맞는 통합돌봄서비스로 일상 회복을 지원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도민 삶에 실질적인 변화를 주는 통합돌봄 정책을 지역사회와 함께 확대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