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김성의 기자 | 전라남도교육청은 2019년부터 추진해 온 ‘고교학점제 학교공간 조성사업’을 통해 학생이 주도하는 선택형 교육과정을 지원하고, 학교와 수업의 혁신을 이끌어가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2019년 3개교를 시작으로 매년 사업을 확대해 현재까지 일반고 70여 교의 학점제형 학교 공간 구축을 완료했다.
이 사업은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해 학생 개개인의 진로와 학습 특성에 맞는 유연한 학습공간 조성을 목표로 한다.
특히, 교실 구조의 혁신을 통해 학생 이동과 선택 중심의 고교학점제 운영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 가변형 교실 ▲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운영 공간 ▲ 홈베이스 ▲ 온라인 학습카페 등 다양한 형태의 학점제형 학습공간이 구축됐다.
올해는 곡성고, 여천고 2개 교를 대상으로 2차 컨설팅을 완료하고 12월 착공을 앞두고 있다.
학생과 교직원 등 공간 사용자 의견을 수렴해 설계 방향을 구체화했으며, 학생 자율참여와 팀 프로젝트 중심 활동을 통해 모형 제작, 발표, 현장 체험 등 단계별 설계 과정을 경험하는 ‘교육과정-공간 연계형 맞춤 설계’를 완성했다.
새롭게 조성되는 공간은 교내 학생 학습지원 집중 공간, 휴게 마당과 연계된 열린 도서관, 공유교실, 대형 강의실 존 등으로 구성된다.
이는 단순한 수업 공간을 넘어 모둠형 프로젝트 수업, 융합형 실습, 자기주도 학습, 창의적 체험활동까지 아우르는 학생 선택형 배움의 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은 고교학점제 수업뿐 아니라 온·오프라인 공동교육과정, 자율학습 및 휴게 공간 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되며, 학교 간 협력과 학생 선택권 확대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고 있다.
전남교육청은 앞으로도 고교학점제형 학교공간 조성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공간 활용 컨설팅, 교원 연수, 우수사례 공유, 학교 간 협력체계 구축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박철완 중등교육과장은 “공간이 바뀌면 학교와 수업이 바뀐다는 철학 아래, 전남의 모든 학교를 학생의 선택과 배움이 살아 있는 학점제형 공간으로 바꾸어가고 있다”며 “앞으로도 학생의 주도성과 학교의 자율성이 공존하는 미래형 학습환경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전라남도교육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