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인천광역시는 초고령사회 진입에 대비해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활기찬 노후생활을 지원할 수 있도록 맞춤형 디지털 복지환경 조성을 위한 ‘인천형 스마트 경로당’을 확대 구축한다고 밝혔다.
‘인천형 스마트경로당’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한 2024년 공모사업에 선정되어 추진된 사업으로, 인천시는 지난해 100개소의 스마트경로당 구축을 완료했으며,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시범 운영을 거쳤다.
인천시는 지난 6월 18일 인천 스마트경로당 스튜디오에서 개소식을 열고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해 박용렬 대한노인회 인천시연합회장, 군·구 지회장, 인천스마트시티 관계자들이 함께 스마트경로당의 본격 운영을 축하했다.
이어 하반기에 100개소를 추가 조성해 총 200개소의 스마트 경로당을 운영할 계획이다.
인천형 스마트경로당은 ▲양방향 화상시스템 ▲스마트 생활케어 ▲스마트 헬스케어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해 어르신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양방향 화상시스템을 통해 건강 체조, 노래교실, 보이스피싱 예방교육 등 비대면 방식의 다양한 여가 및 건강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기초 건강 정보를 측정하고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스마트 생활케어는 일상생활에 필요한 키오스크 교육과 둘레길 코스를 화상으로 제공하는 워킹머신 기능을 결합해 인지능력 강화와 체력 증진을 돕는다.
인천시는 어르신 맞춤형 디지털 복지 환경 조성을 통해 비대면 건강·여가 프로그램 활성화와 지역사회 돌봄 기능 강화,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현정 시 여성가족국장은 “노인 인구의 증가와 사회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스마트 경로당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라며, “경로당을 디지털 친화 공간으로 조성해 어르신들의 건강한 노후와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맞춤형 복지 인프라 확충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인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