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동작구는 지난 20일, 동작구청 舊 청사부지 매각을 위해 노드원피에프브이 주식회사(이하 ‘노드원’)와 공유재산 매매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옛 청사 자리인 노량진동 47-2 일대는 당초 신청사 건립을 맡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대물변제’로 정산되고, 그 일원에 임대주택 등이 들어설 예정이었다.
그러나 구는 이미 임대주택 공급이 충분한 노량진에는 추가 임대주택보다 민간개발을 통한 새로운 랜드마크 조성이 더 절실하다고 판단해, 정산 방식 변경을 놓고 LH와 지속 협의했다.
그 결과, 지난 9월 ‘대물변제’에서 ‘현금정산’으로 변경을 이끌어냈고, 개발 방식도 공공에서 민간으로 전환해 토지 매매계약에 성공했다.
앞서 구는 올해 8월 민간사업자 공모를 통해 ‘IMM인베스트먼트 컨소시엄’을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하고, 노량진 청사부지 개발사업 추진 협약을 맺었다. 이를 기반으로 특수목적법인 ‘노드원’이 설립됐다.
공모사업을 주도한 IMM인베스트먼트는 셀트리온, 무신사, 직방, 에코프로 등 다수의 유니콘 기업을 발굴·육성한 국내 굴지의 금융·벤처투자사다.
구는 IMM의 민간개발 역량과 부지의 입지적 잠재력을 결합해 동작구를 대한민국 유니콘 기업의 출발점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구는 토지 매각으로 재정 측면에서 약 1,000억 원의 수익 효과가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먼저, LH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430억 원을 절감했다. 이와 함께 ‘노드원’이 처음 제안한 ‘3년 분납’을 1년 단축함으로써 건립비 조기 상환도 가능해져 이자 부담을 10억 원 이상 줄일 수 있게 됐으며, 민간개발로 365억 원 규모의 공간까지 기부채납 받게 돼 총 약 1,000억 원의 예산 절감을 달성했다.
이번 매매계약 체결에 힘입어 노량진 청사부지는 교육·주거·업무·상업 기능을 갖춘 복합단지로 빠르게 탈바꿈할 전망이다.
지하 7층~지상 44층 규모로 건립되며 ▲교육연구시설 ▲공동주택 ▲오피스텔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서 동작의 미래 100년을 이끌 랜드마크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또한 국제학교 유치, 신성장 산업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청년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일하 동작구청장은 “이번 토지 매각으로 동작구는 대한민국 유니콘 기업의 출발지가 될 것”이라며, “전 세계가 동작을 주목하게 될 날이 머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동작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