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합천군은 11월 13일부터 14일까지 2일간 합천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 및 합천운석충돌구 일원에서 열린'제2회 합천운석충돌구 국제 학술포럼'이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학술포럼은 합천군과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공동주관했으며, 운석충돌 및 지질학, 지구과학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 발표자 및 토론자, 학계 관계자, 지역주민 등 150여명이 참석해 ‘합천운석충돌구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제로 심도있게 논의했다.
1일차 학술포럼의 개회식(1부)에서 김윤철 합천군수,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장, 정봉훈 군의회의장, 장진영 도의원, 군의원 등 관내 기관·사회단체장, 초계·적중면의 사회단체장, 이장 등이 참석해 포럼 개최를 축하했다.
이후 본행사인 학술포럼(2부)은 첫 번째 세션에서는 ‘행성 운석충돌구 연구의 미래가치’를 주제로 ▲행성충돌구 연구 및 의의(에머슨 슈파이어러 박사, 미국 Intuitive Machines, LLC) ▲지구 소형충돌구 발견 및 행성과학적 의의(아니아 로시아크 박사,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운석충돌 흔적(타다 도시히로 박사, 일본 치바공업대학교)에 대한 국외 전문가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이어 두 번째 세션에서는 ‘운석충돌구 활용 세계지질공원 발전’을 주제로 ▲합천운석충돌구의 발견과 지질학적 의의(임재수 박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미국 미티어충돌구 스토리 및 관광활용 사례(이승열 교수, 충북대 지구환경과학과) ▲독일 리스충돌구 연구 및 세계지질공원 의의(최승찬 박사, 지아이-지반정보연구소)관련 3건의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또한 주제발표 후에는 최변각 교수(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가 좌장을 맡아 유완상 박사(국가지질공원사무국), 전용문 교수(조선대 지구과학교육과)가 패널로 참여하여 국내·외 발표자들과 함께 합천운석충돌구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가능성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특히 이날 부대행사로 행사장 로비에 '합천운석충돌구 특별전시·홍보관'도 별도로 마련하여 운석충돌구 결정적 증거인 충격원뿔암, 충격용융각력암 실물 전시와 함께 합천운석충돌구 및 합천관광 홍보도 진행했으며, 합천운석충돌구를 모티브로 한 합천군 대표 캐릭터 ‘별쿵’이 포토존도 운영해 운석충돌구에 대한 인지도와 호감도를 높이는 효과를 거뒀다.
포럼 2일차인 11월 14일에는 국내·외 전문가 40여명이 참여하여 현장답사와 현지토론이 진행됐다. 전문가들이 직접 합천운석충돌구의 지오사이트 및 대암산 전망대 등 일원을 탐방하며 지질학적 특징과 보존 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방향과 지역활용 방안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교환했다.
권이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원장은 “합천운석충돌구는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과학적으로 입증된 운석충돌 흔적이자, 세계적 지질유산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졌다.”며 “이번 포럼을 계기로 더 활발한 학술연구와 합천군과의 교류·협력사업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윤철 합천군수는 “이번 학술포럼을 통해 도출된 성과를 기반으로 합천운석충돌구를 학술적 연구뿐만 아니라, 교육과 관광, 지역경제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발전 모델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뉴스출처 : 경상남도 합천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