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인공지능(AI)으로 똑똑하게 산불 막고, 빠르게 산불 끈다

인공지능(AI) 기반 산불 감시 시스템 구축해 산불 의심되면 연동된 ‘드론’이 출동…신속한 초기 진화 가능

 

뉴한국방송뉴스통신사 신유철기자 기자 | 가을철 산불조심기간을 맞아 산불방지대책본부를 운영하고 있는 관악구가 ‘인공지능(AI) 산불 대응 시스템’을 구축해 첨단 산불 대비 체계를 마련했다.

 

앞서 구는 서울시와 산림청의 지원을 통해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관악산 일대에 산불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제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다.

 

인공지능(AI) 기반 산불 감시 시스템은 연주대 등 관악산 주요 지점에 설치된 폐쇄회로(CC) TV로 촬영된 영상을 인공지능이 실시간으로 분석해, 연기나 불꽃 등을 감지하면 관리자에게 즉시 알림을 전송하는 방식이다.

 

산불로 의심되는 경우, 인공지능 산불 감시 시스템과 연동된 ‘드론’이 자동으로 해당 현장에 출동해 화재 발생 상황을 실시간으로 촬영하고 영상을 송신해 신속한 진화 인력 투입을 돕는다.

 

구 관계자는 기존 폐쇄회로(CC) TV로 상황 확인이 어려운 지역까지 촘촘히 감시할 수 있어 산불 발생 위치를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구는 남현동 일대 관악산 주요 능선부에는 평균 15m 높이의 ‘수관수막타워’ 3기를 설치했다. 이는 최대 40분간 반경 40m를 360도 회전하며 살수해, 원격제어 시스템으로 강풍이 부는 능선부에서 산불 확산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외에도 구는 주요 등산로와 임야 진입로 등에 ‘산불 감시용 블랙박스’를 설치해 산불 감시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물 공급이 어려운 산림 내 소방호스를 연결해 사용하는 ‘고압 수관 장비 보관함’도 비치해 신속한 초기 진화에 힘쓴다.

 

산불 전문 예방 진화대에는 개인 진화 장비 세트를 확대 지급해 현장 대응 인력의 안전성을 높이고, 산불 취약지역에는 3톤가량의 친환경 산불 지연제를 살포해 불길 확산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박준희 구청장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산불 감시체계를 통한 선제적 불씨 관리와 신속한 화재 대응으로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안전도시 관악을 만들어 가겠다”라며 “관악산을 찾는 방문객들이 안전 수칙을 지키며 단풍과 함께 깊어가는 가을을 만끽 하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뉴스출처 : 서울특별시 관악구]